top of page
헥토르.png

Appearance

짙은 검은색 머리와 드문드문 보이는 흰머리, 그리고 시린 푸른색 눈. 어렸을 때부터 유난히 잘 자랐던 새치는 그저 유전적인 것일 뿐이라 염색을 해도 소용이 없었던지 현재는 자연스레 방치 중이다. 기본적으로 뼈대가 굵으며 덩치가 커서 또래에 비해 성숙해 보인다.

교복은 제대로 갖춰 입기보단 적당히 걸쳐 입는 정도. 원체 깔끔한 편은 되지 못하며 활동적인지라 안 그래도 낡은 교복이 여기저기 반들반들해졌다.

Wand

Personality

사시나무, 용의 심근, 13인치, 견고함

활동적/ 솔직한/ 확고한/ 강한 자존심/ 스스럼없는

 

[활동적]

활동적이다. 게다가 몸이 먼저 반응하는 성격에 조심성이 없어서 자주 다쳐오곤 한다. 

 

[솔직한]

감정을 숨기는 게 어색하며 말과 행동을 통해 그 솔직함이 드러난다. 그렇다 해도 나름 사회생활이라는 건 할 줄 알았기에 필요할 때 적당히 상대에게 맞춰주는 유연함 정도는 가지고 있다.

 

[확고한]

자신의 선택에 대한 확신과 결단력은 좋게 보면 강단 있다 평가할 수 있겠지만, 뚜렷한 주관은 고집으로 빠지는 일이 허다했다.

 

[강한 자존심]

자존심이 세다. 혼자서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능력을 인정받고 싶어 해서 남에게 먼저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싫어한다. 혼자 끙끙거리는 모습을 보고 누군가 먼저 나서서 도와주겠다고 하지 않는 이상 자신이 해결하려는 문제에는 일체 입을 다문다.

 

[스스럼없는]

경계심 없고 조심성 없는 성격은 오히려 가감 없는 면을 부각시켰다. 첫 만남에도 스스럼없이 행동하는 모습은 되려 신뢰감을 주곤 했으니 신중하지 못한 점은 큰 단점이 되지 못했다.

ETC.

[퀸즐리]

래번클로와 후플푸프를 가장 많이 배출한 순수 혈통 가문. 학자, 작가 출신이 많다. 퀸즐리 사람들이 펜을 가까이한다는 인식이 박힌 것은 오래되지 않았으며 원래는 대대로 소유한 광산이 있어서 광산업으로 부를 축적해왔다. 그 때문인지 눈 색에 맞는 광석의 이름으로 미들 네임을 짓는 것이 가문의 전통이 되었다.

순혈만을 고집하는 보수적인 가문은 아니며 오히려 머글을 옹호하는 분위기마저 있다. 다만 학문적인 호기심으로 머글들에게 관심을 보이며 호의를 베푸는 것일 뿐, 마법사들은 머글들과 달리 선택받은 존재라는 우월적 사상이 은연중 자리 잡혀 있다. 

 

[헥토르 라피스 퀸즐리]

헥토르는 퀸즐리 가문의 가장 막내였다 -얼마 전 막내 사촌이 새로 태어나기 전까지는. 외동이었던 데다가 사촌 형과 누나들 사이에서 자라와서 자신 보다 어린 사촌 동생이 생긴 것에 기뻐하며 친동생처럼 매우 아끼고 있다. 지금이야 외형적으로나 나이로나 그리 어린 애 취급 당할 일은 없어도집에서 워낙 막둥이 대접을 받아와서인지 어린애 취급하는 건 여전히 싫어한다.

집안에 크고 작은 불만들이 많다지만 가족들을 싫어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많이 아끼는 부류. 다만 충분한 재능과 더 큰 부를 축적할만한 기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욕심 없이 사는 집안 분위기를 답답해한다.

 

[애완식물]

평범한 선인장 하나를 키우기 시작했다. 자신은 동물과 그다지 상성이 좋지 못함을 일찌감치 깨달았던 터라 동물 대신 가끔씩 애정을 주기 편한 식물을 선택했다. 조금씩 자라는 모습을 보면서 나름의 뿌듯함을 느낀다.

 

[좋아하는 것]

비행술, 새벽의 기숙사 휴게실

 

[싫어하는 것]

호울러, 정해진 답이 없는 문제

Relationship

하티 M. 뵐베르크룸메이트. 말이 더 필요할까?

각자의 일에만 몰두하던 퀸즐리 가족들에게 여행이라는 건 기껏 해봐야 이웃 마을에서 피크닉을 잠시 즐기는 게 전부였지만 근래에 큰마음 먹고 다 같이 북유럽에 가게 되었더란다. 당시 하티와 뵐베르크가 사람들에게 숙박 장소를 제공받는 등 큰 도움을 받았으며 나름 두 가족이 평화로운 방학을 보냈다. 하티와는 학기 중에도 기숙사에서 같이 밤을 새우거나 하티의 새로운 마술에 피드백을 주고 받는 등 죽이 잘 맞는 룸메이트 관계를 계속 이어오고 있다.

조제 맥클레인 : 다 읽었어? 연습이나 할까?

 

헥토르는 조제와 방학 동안 소소하게 편지를 주고 받으면서 가족들이 출간한 책 두어권을 보내곤 했다. 그렇게 주고 받는 편지 내용에는 책에 대한 감상평이 들어가곤 했으며, 이로인해 퀸즐리라는 이름이 들어간 책들은 보지 않았을 것만 같았던 헥토르가 가족들의 저서를 조금씩 읽어보기라도 하는 작은 변화가 생겼다. 학기 중에는 서로 퀴디치 연습을 도와주곤 했다

​두 세계의 교차점 : 프리드웬 A. 베리

머글학자인 헥토르의 증조부 파에톤 퀸즐리의 저서들을 프리드웬에게 전해주는 과정에서 책에 관심을 가졌던 그 가족들과 연을 맺게 되었다. 퀸즐리 사람들은 가까이서 교류할 수 있는 머글 친구가 생긴 것을 환영했으며, 프리드웬의 어머니와 언니와 가깝게 지내는 등 활발한 교류를 하기 시작했고, 헥토르는 프리드웬을 따라 머글 세계라는 또다른 사회를 알아가게 되었다. 헥토르 또한 아직은 마법 세계가 낯설 프리드웬에게 마법 세계의 이모저모를 알려주며 서로의 세계를 알아가는 중이다.

미숙한 스승과 미숙한 제자 : 헥토르 L. 퀸즐리

진득하게 앉아 있는 걸 힘들어하는 헥토르에겐 마법 약 수업은 제일 따라가기 힘든 과목 중 하나였다. 그런 헥토르에게 마법 약으로 인정 받는 가문에서 후계자 수업까지 받고 있는 헤스티아는 마법 약 과목을 포기는 하지 않게 만들어 준 장본인이기도 했다. 헤스티아에게 공부에 도움을 받으면서 사소한 다툼을 벌이기도 하지만 편하고 믿을만한 선생님은 되는 것 같다. 또한 야밤에 몰래 학교를 돌아다니며 식당에서 몰래 간식을 먹는 등 통금 시간을 어기는 비성실한 학생이 된 경험도 같이 공유하고 있다.

모서리.png
모서리.png
kisspng-paper-butterfly-paper-butterfly-
프레임.png
헥토르2.png

#활동적 #솔직한 #확고한

​#강한 자존심 #스스럼없는

말풍선.png

맞다, 아니다. 둘 중 하나만 해.

세상을 이루는 건 흑과 백

핵토르4.png
제목 없음-1.png
bc40cf18a0159a5abaec580254f45a0f2b58feb4
Copyright 2019 @Calliope_HW.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